본문 바로가기

인사이트/비즈니스 인사이트

[이벤터스 웨비나] 일반인이 알아야 할 돈이 되는 IT 이야기 '핀테크'

연사: 세컨드브레인연구소 이임복님

유튜브, 네이버 오디오클립에서 이임복님의 IT 트렌드 강연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네이버 오디오클립

 

이임복의 IT TREND를 읽다 (by 일상IT)

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필수지식 IT ! 우리 주변에 펼쳐지는 아주 현실적인, 돈냄새 나는 <생존 IT>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. 의 저자, <디지털 히어로즈> 팟캐스트의 PD가 직접 전합니��

audioclip.naver.com

 

강연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했다. 😉

 


1. IT 산업 현황

은행 금리

- 은행 금리 낮아짐

- 카카오페이: 증권 계좌로 변경 시 5% 이자 제공 (2020.5.31까지)

- 네이버페이: 3% + 네이버페이 포인트 3% 지급 (2021.5.31까지)

 

요즘 영화보는 방식

- 넷플릭스 이용률 상승 > 넷플릭스의 주가 상승

- 디즈니플러스 > 출시된 이후로 주가 상승

-> IT에 관심을 가지면 돈이 될 수 있다.

 

앞으로 어떤 기업이 성장할 것인가?

- 현재 성장한 기업: 카카오톡, 쿠팡, 배민, 토스 등

- 이런 회사와 연관된 것만 보더라도 얻을 수 있는 게 많다. ex) 배민 > 관련된 기업 요기요 > 요기요의 본래 기업은?

 

2. FIN TECH - TECH FIN

과거, 현재 비교

- 전통적인 핀테크: 은행어무 온라인 지원 성격

- 새로운 핀테크: IT중심 = 테크핀 ex) 삼성페이

 

간편 금융의 시대

- 간편 결제와 송금: 토스, 카카오페이

- 은행 앱에서도 송금 가능하도록 따라잡았으나 사람들이 모른다.

- 금융권이 아닌 곳에서도 송금 기능을 넣기 시작 ex) SSG페이

 

QR/모바일 거래

- 가장 많이 하는 나라? 중국, 신용카드 보급률이 낮음

- 국내시장: 가속화되고 있음. 국가에서 전자장부 산업도 추진중

- 테이블 점령: 네이버, 카카오가 경쟁 중. 활성화되면? 고객 데이터에 기반해 예측할 수 있게 됨 > 데이터 테크놀로지

 

카드사/은행의 대응

- 은행과 협업 줄어듦: 카카오, 네이버페이가 과거엔 은행과 협업했으나 자체 계좌에 직접 저금하도록 유도하고 있다.

- 핀테크 후불제 기능: 카카오, 네이버페이에서 도입 예정 > 카드사와 똑같은 기능으로 걱정하고 있다.

- 카드사의 고민: 계좌 x > 오픈뱅킹 불가

 

3. 인터넷 전문은행

카카오뱅크, 케이뱅크

- 왜 앱이 있는데도 대면으로 해야 하는가? 비대면 서비스가 만들어짐

- 기존 은행도 빠르게 기술을 따라잡았다.

 

토스(허가받음)

- 초기 금리 이벤트 확인

 

4. 간편 투자

p2p

- person to person

- 리스크: p2p 투자는 주로 대부업임. 하이리스크 하이리턴

- 트렌드: 소액투자를 권장함

 

카카오페이

- 카카오페이즌 중개플랫폼임. 100% 신뢰할 수 없다.

 

> 간편투자는 리스크가 있다.

 

5. 주식 투자

카카오페이

- 펀드사와 연합해 펀드를 팔고 있음

- 잔돈 투자 > 적은 금액이지만 돈이 굴러가는 걸 보여줌

 

토스

- 아직 모바일 서비스 나오진 않았으나 트레이닝 서비스 출시할 것 같음

 

기업의 목표

- 주식, 보험 등으로 나눠졌던 것들을 한 번에 자산관리 > 소비패턴 데이터 추출 가능

- 핀테크에서 자산관리 서비스가 나오기 시작함

 

6. 2020년 포인트

- 비대면: 더 빠른 금융

- 주식, 보험: 더 빠른 디지털화

- 멤버십 ex) 쿠팡 로켓배송, 네이버페이 멤버십


IT 기업에 원래 관심이 많았는데 그중에서도 핀테크는 잘 모르는 분야였다. 오늘 강연을 통해 트렌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다. 월마다 진행한다고 하니 종종 듣고 오디오클립도 들어야지. 😎